차트분석&정보
ONON 추세선 및 이동평균선 매매법
해선슈어맨관리자       98 2025-03-18


 

 

#### 1. ONON 주식 차트 개요


ONON 주식은 2023년부터 2025년 3월 17일까지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기 상승 추세선: 차트 하단에서 시작된 노란색 점선으로 표시된 상승 추세선은 2023년 초부터 이어져 2025년 3월 기준으로 여전히 유효합니다. 이 추세선은 주요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이동평균선 (MA): 차트에는 1일, 30일, 112일, 224일 이동평균선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이동평균선들의 간격 변화와 교차를 통해 매수/매도 신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지와 저항 구간: 차트에 표시된 26.61 (지지 구간)과 59.55 (저항 구간)에서 각각 매수와 매도 신호가 발생했습니다.

---

#### 2. 이동평균선 매매법: 핵심 원칙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매매 전략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 이동평균선이 벌어질 때 (매도 신호): 단기 이동평균선(예: 1일 MA, 30일 MA)과 장기 이동평균선(예: 112일 MA, 224일 MA)이 서로 멀어지면 매도 압력이 강해집니다. 이는 상승 추세가 과열되었거나 조정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이동평균선이 좁혀질 때 (매수 신호): 단기와 장기 이동평균선이 가까워지면 매수 압력이 강해집니다. 이는 하락 후 반등의 가능성이나 새로운 상승 추세의 시작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 3. ONON 차트에서의 매매 신호 분석

ONON 차트에서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을 활용해 다음과 같은 매매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매수 신호 (지지 구간):
- 2024년 5월경, 주가가 26.61 부근에서 지지선을 형성하며 반등했습니다.
- 이 시점에서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이동평균선에 가까워지며 좁혀지는 패턴을 보였고, 이후 주가가 상승하며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골든 크로스가 발생했습니다.
- 이는 강력한 매수 신호로 작용했고, 이후 주가는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 매도 신호 (저항 구간):
- 2025년 3월경, 주가가 59.55 부근에서 저항선에 도달했습니다.
- 이 시점에서 1일 및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및 224일 이동평균선과 멀어지며 과열 상태를 나타냈고,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며 데드 크로스가 형성되었습니다.
- 이는 매도 신호로 작용했고, 이후 주가는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 4.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

2025년 3월 17일 기준, ONON 주가는 47.03으로 저항선(59.55)에서 하락한 후 조정 중입니다. 차트를 바탕으로 향후 전망과 트레이딩 전략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 관점:
- 현재 주가는 26.61~31.36 부근의 지지 구간(차트에 표시된 "선행 기간")에 근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반등이 발생한다면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지지 구간을 하향 이탈한다면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절 전략을 준비해야 합니다.

- 장기적 관점:
- 장기 상승 추세선은 여전히 유효하므로, 조정이 끝난 후 다시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표 가격은 차트에 표시된 64.05~72.50 구간으로 예상됩니다.

- 매매 전략:
1. 매수: 주가가 26.61~31.36 구간에서 지지선을 확인하고,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이동평균선에 가까워지며 골든 크로스가 발생할 때 매수 포지션을 고려하세요.
2. 매도: 주가가 64.05~72.50 구간에서 저항선에 도달하고, 30일 이동평균선이 112일 이동평균선과 멀어지며 데드 크로스가 발생할 때 매도 포지션을 고려하세요.

---

#### 5. 결론

ONON 주식은 장기적인 상승 추세 속에서 단기적인 조정을 겪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을 활용한 매매 전략은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유효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일, 30일, 112일, 224일 이동평균선의 간격 변화를 통해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글 03/17 유로화에 이어 위안화도 강세?
다음글 USDJPY(엔화) 추세 분석
댓글 입력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