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5월 WASDE 를 앞두고
행복       1,542 2022-05-11

5월12일 정오 (미국 동부시간) WASDE (세계곡물수급보고서) 발포가 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농산물의 큰 변동성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매월 둘째주 10일 전후로 발표되는 WASDE 는 1년 중 가장 중요한 달이 5월과 6월입니다

 

 

 

3~4월 파종, 5~6월 성장, 7~8월 성숙, 9~10월 수확

 

 

 

 

 

 

 

파종이 시작되는 4월부터 이제 막 성장이 시작되는 5월과 6월

 

 

 

올 농사의 대략적인 수요 공급 재고 등 전반적인 윤곽이 들어나는게 5월과 6월이 아닐까 싶습니다

 

 

 

 

 

 

 

2019년 이후 4년째 WASDE 를 보고있는데 가장 변동성이 심한 시기는 6월 > 7월 > 5월인것 같습니다

 

 

 

6월은 WASDE 이후 6월말 재배면적발표도 있습니다

 


 

 

옥수수 월봉입니다

 

 

 

2007년 ~ 2008년 애그플레이션 : 2006년 가뭄이후 오일가격이 급등하면서 생긴 농산물 랠리

 

 

 

2010년 ~ 2012년 고유가 & 바이오에너지 : 유가가 100달라를 돌파하면서 대체에너지로 바이오에너지가 각광받으며 농산물 가격 상승

 

 

 

2015년 ~ 2019년 5년간 박스 : 바이오에너지로 인해 넓어진 재배면적과 다시 내려간 유가로 5년동안 320 ~ 440 좁은 박스권

 

 

 

2020년 ~ 2022년 중국발 수요와 고유가 : 2020년 여름이후 폭발한 중국발 수요와 코로나 이후 유가가 다시 100달라를 넘어서면서 농산물 2차랠리

 

 


 

 

오일과 옥수수 비교차트입니다

 

대체적으로 비슷하기는 한데 2013년이나 2019년은 조금 다른것 같기도 하고

 

 

 

농산물은 유가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1년 일봉입니다

 

 

 

파란색은 3월말 재배의향보고서와 6월말 재배면적발표이고

 

빨간색은 4월 ~ 7월 WASDE 입니다

 

 

 

2021년은 2020년 8월이후 시작된 중국발 수요로 옥수수가 550 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3월말 재배의향보고를 발표를 기점으로 랠리를 시작하게 됩니다

 

 

 

고점은 5월7일날 찍었고 5월 WASDE 를 기점으로 하락을 시작

 

다시 6월 WASDE 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하락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7월 WASDE 에서 하락이 멈추게 됩니다

 

 


 

 

2020년 일봉입니다

 

 

 

코로나 이후 유가가 1월초부터 계속 폭락하고 있었으나 

 

옥수수는 3월 WASDE 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하락을 시작합니다

 

 

 

이때는 워낙 유가 하락도 심하고 농산물 재배면적도 넓고 재고도 많고

 

날씨도 좋고 여름 랠리가 6월말 재배면적발표 전후로 단 3일로 끝났습니다

 

 

 

7월 WASDE 를 기점으로 다시 하락으로 전환되었죠

 

 

 

물론 8월 WASDE 를 기점으로 강력한 중국발 수요로 인해 이후 가장 강한 랠리를 시작하게 됩니다

 

 

 

 

 

 

 

매년 3월~7월 전부 다 올리려다가 귀찮아져서

 

 

 

예전에 매년 성수기 WASDE 분석해서 올렸던 글들도 있고 

 

 

 

5월 6월 7월 WASDE 와 6월말 재배면적발표

 

 

 

이 4개의 날짜는 농산물 중 1년에 가장 중요한 날입니다

 

 

 

5월 WASDE 를 기점으로 상승을 할지 하락을 할지​ 

 





 

 

5월9일자 주간장확보고서인데 현재 파종율이 굉장히 저조합니다

 

 

 

옥수수 전년 64% 현재 22% 평년 50%

 

 

 

대두 전년 39% 현재 12% 평년 24%

 

 

 

귀리 전년 83% 현재 55% 평년 71%

 

 

 

봄밀 전년 67% 현재 27% 평년 47%

 

 

 

대충 한눈에 봐도 상당히 파종율이 평년대비 뒤쳐지는걸 볼수 있습니다

 

 

 

 

 

 

 

농산물 파종이 늦어지면 성장이 늦어지고 수확까지 전 싸이클이 지연이 됩니다

 

 

 

파종기에 날씨가 좋아서 파종이 빠르면 수확까지 싸이클이 최대 두달이상 줄어들게 됩니다

 

 

 

지금 상황으로 봐서는 올해 예상되는 가뭄과 더불어 굉장한 흉작이 예상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파종이 느리면 성장 성숙 수확 전부 늦어지게 되고 품질 또한 떨어지게 됩니다

 

 

 

 

 

 

 

수출은 예전에 데이타 정리하던게 다 날라가서 음

 

 

 

새로 만들기는 너무 귀찮고​ 

 


 

 

이건 저번주 건데 대충 이정도라고

 

 

 

 

 

 

 

 

 

 

 

지금 늦은 작황상황이나 낮은 수출판매는 이미 현재 가격에 다 반영되어있다고 봅니다

 

 

 

목요일 01시에 발표될 보고서 또한 시장 전망은 별로 안 좋은 쪽으로 보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가향방 또한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사상최고치인 농산물 가격

 

 

 

5월 WASDE 이후 어떻게 되려나

 

 

 

이전글 매매하다 느낀 진리
다음글 스닥이 시황
댓글 입력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