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을 막아주는 2%, 6% 룰을 알아보자 |
---|
313 2024-11-14 |
리스크가 클수록 리턴도 커진다. 근데 파생에서는 리스크가 어느 임계점을 넘어가면 오히려 리턴이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남.
본인의 시드, 나이, 성향에 따라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가 다르겠지만 알렉산더 엘더 박사는 2%, 6% 법칙을 권장함. 한번의 거래에서 포지션당 최대 손실액은 2%, 계좌 최대 손실액은 6%로 제한하자는 거지.
만약 자신이 포지션당 손실액을 1%로 잡았다면 한 번에 최대 포지션을 6개 들고갈 수 있음. 이 방법을 사용할려면 포지션에 진입하기 전에 어떤 가격대에서 손절할건지, 그리고 손절했을때 내가 목표한 손실액 이하로 손실을 끊을려면 몇 계약을 들고가야 하는지 알고 있어야함.
념글 니케이로 5억 청산당한 게이는 위험관리에 실패한거임. 그가 알렉산더 엘더 박사의 2%, 6% 법칙을 따랐다면 살아남을 수 있었음.
본인은 멋모를때 대출받아서 TQQQ 투자하는등 리스크 관리에 무지했지만 여러 하락장을 쳐맞으면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게됨. 그래서 나는 좀 더 보수적으로 포지션당 최대 손실액을 1%로 잡고 들어감. 최대 종목수는 4개니까 계좌 최대 손실액은 4%임.
이 방법으로 깡통찰려면 100번 연속 실패해야함. 근데 보통 10번정도 연속 손실보면 투자법을 보완하든가 리스크를 더 줄이던가 하겠지. |
이전글 골드랑 목숨빵 하려다가 참는다 |
다음글 주식 내다파는 미국 기업들…트럼프 랠리에 \"땡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