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노무라, 1H25 USDKRW 1500 예
알타       253 2024-12-09

 

노무라증권) 25년 상반기 아시아 외환 트레이딩 전략으로 달러롱-위안화/원화숏 추천

 

컨빅션정도는 1~5중 4로 상당히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USDKRW페어의 목표는 1500입니다.

 

USD/KRW 롱 포지션 전략: 2025년 5월 말까지 1,500 타겟 (확신 수준 4/5, 손절매 2%)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원화(KRW)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USD/KRW 롱 포지션을 추천합니다. 다음은 우리의 주요 논거입니다:

1. 대외 환경 변화로 KRW 하락 압력 증가

2025년 초 공화당 정부(트럼프 대통령) 출범 이후, 시장은 관세 및 경기부양책 가능성(특히 중국 관세 부과)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미국 금리 상승 및 강달러(U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대중(對中) 교역 및 금융 의존도가 높아 원화는 강달러/위안화(CNH) 약세 환경에서 큰 약세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USD/CNH 환율이 7.6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KRW에 추가적인 하락 요인이 될 것입니다.

 

2. 한국은행(BOK)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2-A.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율은 IMF 모델 기준 평균 93%로 낮은 편이며, 고정환율 모델 기준으로는 73%까지 떨어집니다.

2-B.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으며, 2024년 상반기에만 94억 달러(현물 및 선물) 순매도한 상황입니다.

2-C. 이러한 점에서 BOK가 원화 약세를 억제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3. USD/KRW 1,400 돌파 이후 정책 당국의 관점 변화

3-A. USD/KRW 1,400 수준의 “뉴노멀”

2024년 10월 23일, 한국 재무부 장관은 원/달러 환율 1,400이 정상적인 수준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당국이 환율 상승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3-B. KRW의 과대평가 가능성

당사 FEER(균형환율) 모델에 따르면, KRW는 현재 약간 과대평가된 상태입니다. 과거 USD/KRW가 1,400 수준이었을 때(2009년 및 2022년), FEER 모델 기준 평균 7.4%~21.9% 저평가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수준에서 추가 약세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3-C. 서비스업을 통한 경제 성장 기대

약세 원화는 관광업 회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NPS)의 해외 투자 헤지 유인 감소

국민연금은 약 4,43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투자 중 최대 10%를 환헤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달러 환경에서는 USD 매도 헤지로 인한 손실 우려가 커져 헤지 유인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KRW 약세를 더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5. 포트폴리오 유입 약화 및 개인 자산 해외 유출 위험

5-A. 한국 주식 시장의 구조적 부담

AI 투자로 긍정적 효과가 일부 기대되지만, 중국 메모리 제품 공급 증가, 삼성 경쟁력 약화, “기업가치 제고 정책” 부진 등으로 주식 시장은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5-B. 외국인 채권 투자 지연

한국 국채(KTB)의 WGBI(세계국채지수) 편입은 2025년 11월부터 시작되며, 단계적으로 진행(총 유입 예상: 555억 달러)되므로 즉각적인 유입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5-C. 개인 해외 투자 증가

2024년 강달러 및 미국 금리 상승 환경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은 253억 달러 규모의 해외 자산 투자를 기록했습니다(2023년: 75억 달러). 이러한 추세는 2025년 상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약화된 거시경제 펀더멘털

반도체 AI 투자 수혜가 일부 기대되지만, 레거시 칩 수요 약화는 한국 전체 수출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한국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1.7%(2024년: 2.2%)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반기에는 더 큰 둔화가 예상됩니다.

 

7.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후 철회 사건으로 인해, 윤 대통령의 사임 또는 탄핵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투자자 신뢰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KRW 약세를 지지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R-1. 한국은행의 KRW 방어 조치 강화(예: BOK-NPS 스왑 라인 확대)

R-2. 정치적 불확실성의 조기 해소

미국경제 지표 약화 또는 2024년 12월 18일 R-3.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
 

이전글 종목 발굴하는 팁
다음글 24년 12월 2주 차 주요일정 (경제지표, 연설, 실적발표)
댓글 입력
댓글 4
맥걸리 15000안가나 2024-12-09 19:56:00 수정 삭제
지뢰찾기프로선수 노무라 저새기들 코스피 하반기 2750 보던 얘들임 그냥 거름 2024-12-09 19:55:00 수정 삭제
나발리지 테슬라 공매도 치라고 2024-12-09 19:55:00 수정 삭제
전직유로파시민 누가 봐도 지금 원화는 맛집인가. .ㅠㅠㅠ 2024-12-09 19:54:00 수정 삭제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