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나스닥 팁 줌. 4가지 구간에 대해서.
겟앰프드랭커       1,006 2025-06-01

 

 

나스닥은 4가지 구간이 존재함.

1. 평화시기

2. 위험시기 하락장

3. 위험시기 하락장 끝난 직후

4. 위험시기 상승장


평화시기는 매일 +-0.5% 정도의 변동성으로 꾸준히 계단식으로 상승하거나 상단 평행 추세선~ 하단 평행 추세선의 박스권에서 횡보함. 이때는 평행 추세선 이탈하지 않는 이상 롱 포지션 끌고가면 됨.

그래서 이때는 캔들 패턴이나 대각선 추세선 이탈이 잘 안먹힘.


위험시기 하락장은 변동성이 커지는 장임. 2008, 2010, 2011, 2015, 2016, 2018, 2020, 2022, 2024, 2025 처럼 -10%~-54% 하락했던 시기라고 보면됨. 이때는 추세선 저항 받을 때 추세 전환 캔들 패턴이나 대각선 추세선 이탈하는거 보고 대응하는게 좋음. 이평선이나 평행 추세선으로 대응하면 이미 너무 많이 오르거나 내린 상황이라 별로임.


위험시기 하락장 끝난 직후는 위험시기에서 특정 추세선 및 중장기 이평선 상향 돌파하거나, 변동성이 줄어드는 시기의 단기 고점을 돌파하면 시작된거라고 보면됨.

이 시기는 시작 시점에서 한달 정도는 계단식 상승장이 시작됨. 그래서 평행 추세선과 이평선 지지 이탈하지만 않으면 롱 홀딩하면됨.


마지막 위험시기 상승장은 매우 드문 시기인데, 바로 2020~2021 같이 높은 변동성으로 증시가 계단식 상승하는 경우임. 이 패턴은 진입포지션을 평화시기의 절반으로 줄이고 평행 추세선이나 이평선 이탈하기전까지 롱 홀딩하면 됨.

이 시기에서는 채널 추세선을 이용하는게 좋음.

상승 추세가 매우 강할텐데, 추세가 어느정도 형성되면 채널을 그리고 주가가 상단 채널을 돌파한뒤 추세전환 캔들이 나타나면 숏 스위칭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지.


번외로 평화시기 하락장은 보통 평행 추세선과 이평선이 교차하는 구간에서 롱 진입하면 되는데, 평화시기 하락장이 위험시기 하락장으로 변화할 수도 있기때문에 이 부분은 아직 연구중임.


2025.06 현재는 위험시기 하락장 끝난 직후 시기라고 판단됨. 150일 이평선 이탈하지 않는이상 앞으로 한달간은 계단식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용어 이해 안가는 사람은 래리 윌리엄스 책 읽어보고, 각 시기를 구분하는 방법은 변동성, 매크로, 주도주의 움직임 등등이 있음. 

이전글 중국관세유예 연장했으니까 로오옹 아님?
다음글 향후 3년간은 상승장 아님요?
댓글 입력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