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4월 9일 01시 WASDE 를 앞두고
행복       1,479 2022-04-07


 

 

미국 동부시간 4월 8일 정오 (우리나라는 4월 9일 1시) WASDE 세계곡물수급보고서 발표가 있습니다

 

 

 

통상 4월은 이제 막 파종이 시작되는 시기라 평년에는 그리 큰 변동성이 없었는데

 

 

 

요즘처럼 농산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 오일 가격 변동성이 극심할때라 아마 큰 변동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농산물들은 통상 아래와 같은 싸이클을 가지고 있습니다

 

 

 

3~4월 파종기, 5~6월 성장기, 7~8월 성숙기, 9~10월 수확기, 11월~2월 농휴기 (겨울밀 제외)

 

 

 

대두와 옥수수가 가장 비중이 높고 그 담이 밀 그리고 나머지 작물들은 머 그닥 (미국이라)

 

 

 

 

 

 

 

대개 평년의 경우 WASDE 발표시 5~8월 변동성이 가장 심한편인데

 

 

 

성장기와 성숙기에 접어든 농산물이 대개 가뭄, 홍수, 병충해 등 자연재해에 따른 

 

 

 

수확기의 수확량을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장마가 심했던 2019년은 5월 WASDE 를 기점으로 상승랠리를 시작하였고

 

 

 

마이너스 유가사태와 메뚜기떼가 있었던 2020년은 여름랠리가 없었지만

 

 

 

중국 홍수와 곡물창고 전수조사 이후 폭발된 중국발 수요로 8월 WASDE 이후 상승랠리를 시작하여

 

 

 

2021년 5월 WASDE 까지 약 9개월간 상승랠리가 펼쳐집니다​ 

 

 



 

2014년 이후 옥수수 주봉입니다

 

 

 

농산물 중 가장 계절적인 패턴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종목이 옥수수입니다

 

 

 

파종기부터 상승하기 시작해서 성장기인 여름에 고점을 찍고 빠지는 패턴이 뚜렷합니다

 

 

 

2014년 5월5일, 2015년 7월13일, 2016년 6월13일, 2017년 7월10일, 2018년 5월21일, 2019년 6월17일, 2020년 7월 6일

 

 

 

주봉이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개 5월~7월 WASDE 발표시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전환하게 됩니다

 

 


 

 

이건 2005년 ~ 2013년 옥수수 주봉인데 

 

 

 

마찬가지로 주로 5월이나 6월 WASDE 때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 상황은 2010년 이후 와 매우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당시 유가가 100달라 돌파하면서 고유가로 인한 대체 에너지로 바이오 에너지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옥수수와 대두는 바이오 에탄올과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사용이 되면서 가격이 오르기 시작합니다

 

 

 

 

 

 

 

 

 

농산물 같은거 왜 하냐고 하는 분들이 많으신데

 

 

 

매년 파종기인 봄부터 상승하고 성장기인 여름에 고점을 찍고 수확기인 가을까지 하락하는

 

 

 

뚜렷한 패턴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선물 상품중에 이런 뚜렷한 계절성을 보이는 종목은 농산물밖에 없습니다

 

 

 

 

 

 

 

물론 그 해마다 날씨나 자연재해에 따라 흉작이 될지 풍작이 될지

 

 

 

그리고 오일 같은 변수가 작용해서 영향을 주기도 하고

 

 

 

미중 무역전쟁 또한 대두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요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때문에 밀 가격이 폭등한것만 봐도 이해가 되시죠

 

 

 

2019년 5월초 미국의 장마가 심해 5월 WASDE 이후 농산물 가격은 랠리를 시작합니다

 

 

 

2020년 아프리카 메뚜기떼는 쌀 가격을 폭등시켰고 이후 다시 폭락했지만

 

 

 

 

 

 

 

2021년은 130년만의 대가뭄이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2020년 중국의 막대한 농산물 수입으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2022년은 이미 농산물 가격이 사상 최대치를 돌파했는데

 

 

 

2021년 11월 이후 유가가 60달러에서 120달러까지 상승랠리를 한것이 주요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11월부터 3월초까지는 겨울밀을 제외하고 농휴기입니다

 

 

 

하지만 급등하는 유가에 따라 농산물 가격 또한 같이 사상최고치를 돌파하게 되었죠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손소독제 수요가 계속 늘어났는데

 

 

 

주로 귀리를 사용해서 손소독제를 만들다 보니 귀리가격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아마 가장 중요한 변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일테고

 

 

 

그로 인한 유가 방향성이 농산물 가격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을까요

 

 

 

 

 

 

 

갑작스런 종전으로 인해 유가가 폭락하기 시작한다면

 

 

 

농산물들은 아마 동반 하락하기 시작할것으로 보입니다

 

 

 

전쟁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는 일이고

 

 

 

 

 

 

 

과거에서 대충 5월 WASDE 와 6월 WASDE 가 가장 중요하더라

 

 

 

이번은 4월 WASDE 이고

 

 

 

3월말 재배의향보고서 발표때 옥수수 재배면적이 4프로 줄고 대두 면적은 4프로 증가

 

 

 

이로인해 대두 가격은 하락 옥수수는 조금 올랐습니다

 

 

 

같이 발표된 분기재고에서 대두 재고가 22프로 증가 밀 재고가 많이 줄었다고 하더군요

 

 

 

밀은 지금 러우 전쟁으로 그 두나라가 밀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두 나라라

 

 

 

 

 

 

 

 

 

올해는 과연 어떻게 되려나요?

 

 

 

 

 

 

 

우선 월요일 발표된 주간작황보고서부터 봅시다​ 

 


 

 

 

 

옥수수 파종이 시작되었습니다

 

 

 

텍사스는 벌써 50프로가 넘어갔군요

 

 

 


 

 

귀리가 요즘 관심이 많아서

 

 

 

텍사스는 귀리가 벌써 발아(?)까지 끝났군요

 

 

 


 

 

겨울밀은 성숙기에 들어간것 같습니다

 

 

 

겨울밀은 5~7월 수확한다고 합니다

 

 


 

 

봄밀 파종도 시작되었습니다

 

 

 

대두는 아직 파종이 시작하지 않았나 봅니다

 

 

 

 

 

 

 

이제 파종을 시작하는 단계라 아직 특별한건 없는것 같습니다

 

 

 

 

 

 

 

 

 

4월 4일 중국이 4,270만 부쉘의 옥수수를 구매했다고 합니다

 

 

 

백만톤이 넘는 물량인데 올해 수확할 옥수수를 구매한 것입니다

 

 

 

그동안 판매실적을 봤을때 굉장히 많은 물량입니다​ 

 

 


 

 

23프로에 해당하는 것이 비료입니다

 

 

 

미국은 비료 걱정을 별로 안하는데 남미쪽은 비료 걱정을 많이 한다는군요

 

 

 

러시아가 비료 수출 세계 1위입니다

 

 

 

주로 유럽쪽으로 수출하기는 한데 그 물량이 막혀버리면

 

 

 

유럽도 비료 구하려고 여기저기서 수입하면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남미쪽 국가들이 비료가 부족하지 않을려나

 

 

 

비료 말고 농약도 러시아가 세계 수출 1위입니다​ 

 


 

 

재배의향보고서 발표때 옥수수를 줄이고 대두를 더 심겠다고 나왔는데

 

 

 

대두를 더 많이 심은적이 거의 없군요

 

 

 

중국이 하도 대두를 많이 수입해가기고 하고 요즘 대두 가격도 좋으니​ 

 


 

 

요즘 밀 가격이 폭등했는데 밀을 더 심어야 하지 않나?

 

 


 

 

옥수수 소비량인데 사상 두번째로 많이 이용했다고 하는군요

 

 

 

에너지 가격 상승과 소비자 수요가 상승해서

 

 


 

 

 

 

중국의 대두 구매 속도가 느려서 대두 재고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농산물 가격이 여기서 4월 WASDE 를 기점으로 다시 한번 더 랠리를 이어갈지

 

 

 

요즘 유가가 조정을 받는데도 옥수수 가격은 딱히 조정이라고 하긴 힘들어보이네요

 

 

 

이번 4월 WASDE 가 큰 분기점이 되기는 어려울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러우 전쟁과 유가 변동성 이제 막 접어든 파종기

 

 






 

 

사상 최고치인 곡물 가격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 비료 농약 밀 가격 상승

 

 

 

이제 시작된 파종기

 

 

 

중국의 옥수수 대량 구매 대두는 예상보다 구매속도가 느림

 

 

 

옥수수 재배면적은 줄어들고 대두 재배면적은 늘어남

 

 

 

러우 전쟁 영향으로 줄어든 밀 재고

 

 

 

 

 

 

 

 

 

오늘은 여기까지 

 

 

 

 

 

 

 

안녕~~ 

 

 

이전글 금융장의 영원한 진실
다음글 가스 헷제 하러 옴
댓글 입력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