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이제 떨어지는 일만 남은 것인가 |
---|
1,235 2021-05-15 |
우선 그냥 제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길
5월 WASDE 에서 각 농산물의 재고가 늘어날것이라는 발표이후 농산물들이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옥수수의 하락폭이 가장 큰데
WASDE 발표당시 725'0 에서 3일동안 641'6 까지 83'2 하락을 했습니다
작년 8월이후 상승분의 23.6 되돌림까지 딱 3일만에 빼버렸군요
옥수수 투기 포지션도 지난주에 비해 3.5만 계약 정도 줄어들었습니다
목요일날 상품펀드는 옥수수 6.5만 계약 순매도였다고 합니다
금요일도 아마 많이 팔았을것으로 보이는데
목요일 상품 펀드는 옥수수 (-65,000), 대두 (-27,500), 대두 (-18,500), 대두 (-5,500) 및 CBOT 밀 (-16,500)을 포함한 모든 주요 곡물 계약의 순 판매자였습니다.
고점에서 WASDE 이후 장대음봉 3방이라
이건 머 조정 정도가 아니라 완전 하방으로 추세전환처럼 보이는데
그동안 옥수수의 상승폭이 컸기에 지금부터 하방으로 간다고 해도 전혀 이상하지는 않을것 같아 보입니다
과거 옥수수 대세 상승기를 찾아보면
1996년, 2007년, 2011년 이렇게 세번의 큰 대세상승기가 있었는데
각각 당시 일봉을 한번 살펴봅시다
먼저 96년 옥수수 일봉입니다
지금과 비슷해보이는 5월16일경 고점을 찍고 살짝 빠졌다가
이후 6월말 재배면적발표때 고점을 찍고 본격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7월초에 나오는 저 무시무시한 갭은
지금처럼 월물간 스프레드가 미친 상태에서 차월물로 넘어간것으로 보입니다
요건 2007년 애그플레이션
6월초부터 추가상승하기 시작해서 6월말 재배면적 발표때 고점을 찍고 하락으로 전환하는군요
2011년 일봉인데 좀 왔다갔다 합니다
5월 WASDE 이후 상승 6월 WASDE 이후 하락 6월 재배면적발표 이후 상승
고점에서 와리가리 박스권을 만들어서
8월말 재배면적발표 이후 본격적인 하락을 하는 모습입니다
옥수수 주봉입니다
2008년 이후 매년 옥수수가 고점을 찍은 구간을 표시했습니다
2008-06-23
2009-06-01
2011-06-06
2012-08-06
2014-05-05
2015-07-13
2016-06-06
2017-07-10
2018-05-21
2019-06-17
2010년과 2020년은 대세상승으로 고점이 년말이라
2013년은 대세 하락기으로 고점이 년초 이 3개년은 제외했습니다
1970년대 차트부터 하다가 귀찮아서
과거차트를 보아도 대충 비슷합니다
WASDE 가 10일 전후로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주봉차트이기 때문에 대부분 WASDE 발표와 연관이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혹은 6월말 재배면적발표와 8월말 재배면적발표
거의 예외없이 5월 WASDE 이후 8월말 재배면적발표 사이이고
5월10일 WASDE
6월10일 WASDE
6월30일 재배면적발표
7월10일 WASDE
8월10일 WASDE
8월30일 재배면적발표
WASDE 는 10일 전후이고
WASDE 이후 방향성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현재 주봉과 애그플레이션 당시 주봉인데
어째 본격 하락장이 시작된것 같기도 하고
도대체 이번 5월 WASDE 에서 뭐라고 했길래
2021/22 시즌 미국 옥수수 수급 전망과 관련하여 지난 시즌 대비 파종면적 증가와 추세에 따른 단위당 수확량으로 옥수수 생산량은 150억 부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1988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평균 파종 속도와 여름 재배 시즌 날씨 등을 고려해 단위당 수확량은 에이키당 179.5부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월 재고량이 급격히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옥수수 공급량은 대체적으로 163억 부셸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감소로 인해 2021/22 시즌 총 수요량은 지난 시즌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 종자, 산업용 소비량은 2억 2,000만 부셸 늘어 66억 부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용 휘발유 소비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어 에탄올용 옥수수 소비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료용 및 기타 소비량은 변동 없겠으나 에탄올용 소비량 증가로 인해 농가 수취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 부진으로 2020/21 시즌(2021년 3월~2022년 2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옥수수 수출량은 제한적이어서 2021/22 시즌 상반기 미국의 옥수수 수출량은 늘어나겠으나 전체 옥수수 수출량은 3억 2,500만 부셸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옥수수 수출량이 총 3억 3,500만 부셸 늘어나 미국과 경쟁을 펼치겠으며 지난 시즌 대비 세계 옥수수 수출량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 공급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2021/22 시즌 미국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지난 시즌 대비 2억 5,000만 부셸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 대비 기말 재고량의 비율 즉 기말 재고율은 10.2%로 지난 시즌 대비 상승하겠으나 2016/17 시즌에서 2019/20 시즌 사이의 평균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22 시즌 평균 농가 수취 가격은 부셸당 5.70달러로 지난 시즌 대비 1.35달러 증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2021/22 시즌 해외 옥수수 수급 전망과 관련해 미국, 브라질, 중국,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의 옥수수 생산량 증가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옥수수 소비량도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옥수수 수입량도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유럽연합, 터키, 이란, 일본, 멕시코의 옥수수 수입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국가들의 옥수수 기말 재고량이 늘어 세계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지난 시즌 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의 세계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지난 시즌 대비 10%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옥수수 공급량 증가 소비량 감소로 재고량 증가할것
해외 옥수수 생산량 증가 소비량 증가 재고량 증가 예상
중국 제외 세계 옥수수 재고량은 작년대비 10% 증가
5월 WASDE 발표당시 725 → 703 까지 하락
그리고 다음날 40'0 하한가
다음날 30'0 추가하락
주간단위로 80 넘게 하락한적이 있나 싶은데
주간이 아니고 3일만에
찾아보니 2013년 6월 대세하락장에서
6월24일 주봉이 120'0 정도 하락한게 가장 크군요
근데 이것도 찾아보니 차월물과의 스프레드 때문에 빠진것처럼 보이는것이고
실제 하락폭은 그만큼 안됨
궁금해서 옥수수 차트를 죄다 찾아보았는데
2일간 70'0 짜리 하락은 비슷한게 딱 두번 있었고
2011년 6월14일 779'4
2011년 6월16일 698'6
3일간 약 80'0 하락
2013년 3월28일 736'2
2013년 4월1일 636'4
이틀간 100'0 하락인데 이것도 월물 넘어가면서 뭔가 좀
근데 대충 보니 이날 40'0 하한가가 이틀 연속 나온것으로 보임
옥수수 역사상 이틀간 70'0 이상 하락은
2013년 3월말 40'0 하한가 이틀 나온 저날 이후 처음
3일간 80'0 이상 하락도 2011년 6월 이후 처음
그동안 옥수수 상승폭이 가파르고 조정없이 계속 올라왔던터라
지금이 하락세로 전환되어 이제 내려갈 일만 남은 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조정을 받고 다시 상승세로 복귀할수 있을런지
다음주가 꽤 중요해보입니다
농산물 본격적인 시즌은
5월 WASDE 부터 8월 WASDE 까지 3개월입니다
지금부터 옥수수가 내려간다고 해도 전혀 이상해보이지도 않고
전 6월말까지 다시 올랐다가 내릴것이라 생각했는데
제 생각이 틀릴수도 있죠
농산물도 종목별로 대두유는 어제 신고가를 기록했고
종목별로 좀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과연 이번 조정이 유기농 조정이냐
아니면 대세 하락으로 가는 시발점이냐
상품펀드는 옥수수 목요일 6.5만계약 매도 금요일도 아마 대충 비슷하게 매도했을것으로 보이는데
여전히 투기매매 누적 순매수는 50만 계약 매수이기는 하지만
월봉 한번 다시 보면서
지금이 고점인지
한방 더 갈지
옥수수 하루에 30~40 씩 움직이니
주말 잘 보내시고
아
다음주 옥수수 옵션만기인데
3일간 이렇게 뺐으면
WASDE 때 그냥 재미삼아 1계약만 매수했던 풋 690
5'6 매수했다가 6'2 에 그냥 정리했는데
아이고 ㅎㅎ
이게 머선일이고
|
이전글 트레이더6232 - 펀더맨털을 이해해야함. |
다음글 필독 - 다음주에 당장 코코아 매도해야하는 이유 :원금 1.6배 이상보장 |